엘라스틱서치에서 샤드는 refresh, flush, optimize API 과정을 통해 관리된다.
엘라스틱서치의 위의 내용은 모두 루씬 내용인데 서로 용어가 다르기 때문에 잘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.

루씬 엘라스틱서치
flush refresh
commit flush
merge optimize API

루씬에서는 데이터가 in-memory buffer 기반으로 처리된다.
데이터변경사항이 들어오면 segment를 생성하고, 시스템 캐시에 캐시된 후에, 디스크 동기화가 이루어짐.

1. 루씬에서의 flush = 엘라스틱서치의 refresh.
- segment 생성시 커널 시스템 캐시에 세그먼트가 캐시되어 읽기가 가능해진다.
- 루씬의 ReOpen() 함수를 이용해 IndexSearcher에서 읽을 수 있는 상태.
- 일정주기마다 업데이트 된 문서가 ReOpen() 함수로 처리.

- es 클러스터에 존재하는 모든 샤드에서는 기본적으로 1초마다 한번씩 refresh작업이 수행된다.
- 인덱스를 새로고침한다는 의미인데, refresh가되면 새로 추가한 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해진다.
- 대량 인덱스 시에는 -1로 비활성화해두면 인덱싱할때 이점이 있다.

2. 루씬에서의 commit = 엘라스틱서치의 flush.
- 물리적으로 디스크 기록을 수행하는 fsync() 함수 호출 작업이다.
- flush가 있기 때문에 매번 commit 필요가 없고, 일정 주기로 commit이 수행된다.
- 루씬에서의 flush작업은 디스크로 쓰기가 이루어지기 전이기 때문에, flush작업까지만 되고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면 데이터 유실 발생 가능성이 있다.

- es에서의 flush는 루씬의 commit 작업과 함께 새로운 translog를 시작한다.
- * translog는 루씬에는 없는 내용으로 샤드의 장애복구를 위해 재공 되는 특수한 파일이다.
- * 샤드는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변경사항을 translog에 먼저 기록하고, 내부 루씬을 호출한다.
- * 시간이 지나면 translog 파일 크기도 증가한다. 루씬에서 commit이 이루어지면 translog에서 commit 지점까지의 내용이 삭제된다.
- * 데이터가 커널 시스템 캐시에 있다 디스크에 동기화 되지 못하고 유실될 가능성을 대비하여 transhlog를 만든 것이다.
- es에서 flush 작업은 default로 5초에 한번씩 수행되고, api를 통해 flush 주기 조절이 가능하나 추천하지 않는다.

3. 루씬의 merge = 엘라스틱서치의 optimize API
-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검색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를 병합하여 세그먼트 수를 줄이는 작업이다.

- 검색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수를 줄이면, 검색 횟수를 줄일 수 있고, 검색 성능이 올라간다.
- commit작업을 동반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다. 

- es에서는 forced merge API를 통해 루씬 merge 작업을 강제 수행할 수 있다.
- 파편화된 다수 세그먼트들을 병합한다.
- 강제 수행하지 않더라도, 백그라운드로 주기적으로 수행된다.

+ Recent posts